[프린터 포렌식] 스풀(Spool) 파일 분석

Updated:

프린터 포렌식의 경우에는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하나는 프린트 명령을 내린 PC를 분석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프린트를 진행한 복합기 및 프린터기를 직접 분석하는 것이다. 이번 글에서는 프린트 명령을 내린 PC 를 분석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1. 프린트 흔적 (Print Artifacts)
  2. 스풀(Spool) 파일 분석 (SHD, SPL)
  3. 참고

1. 프린트 흔적 (Print Artifacts)

PC에서 프린트를 진행할 경우, PC 내 임시파일 형태로 프린트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프린터기에 전송한다. 데이터는 .SHD, .SPL 형태로 저장되며 이들 파일을 스풀 파일(spool)이라고 부르며, 스풀러 작업(spooler)이란 이러한 파일을 만드는 작업을 뜻한다.

스풀 파일이 생성되는 위치는 다음과 같다.

  • 스풀 파일 생성 위치 : C:\Windows\System32\spool\PRINTERS

한편, 스풀러 방식에는 Raw 방식과 EMF 방식이 있다. 프린터속성에서 변경 가능하며 각각의 방식에 따라 스풀 파일 내 저장되는 정보가 다르다.

파일 확장자 Raw EMF
SHD 프린트 작업 정보 데이터 저장 되지 않음(0 KB)
SPL 프린트 작업 정보 + 인쇄물 데이터 프린트 작업 정보 + 인쇄물을 EMF로 변환한 데이터

2. 스풀(Spool) 파일 분석 (SHD, SPL)

스풀파일은 인쇄가 종료되면 자동으로 삭제되기 때문에 분석 PC의 이미지를 획득 후 파일 복구를 통해 분석해야한다. 그러나, SSD를 사용하는 PC에서 C 볼룸에 위치하는 파일을 복구하는 것은 가능성이 높지 않다.

필자의 경우 PC to Printer USB 케이블을 제거한 상태로 프린트 명령을 내렸고, 프린터로 전송이 되지 못한 스풀파일들이 남아있는 상태에서 파일 복사 후 분석하였다. USB 케이블을 재연결하면 해당 스풀파일들은 삭제된다.


USB 케이블 제거 후 프린트 시 장애화면

2.1 Raw 방식

Raw 방식의 경우 000XX.SHD, 000XX.SPL 파일이름으로 생성되었다.


Raw 방식

각각의 파일을 헥사에디터로 확인한 결과 사용한 프린터기, PC, 윈도우 계정, 프린트한 파일명 등의 작업 정보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인쇄물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경우 그 내용을 확인 및 유추하기 어렵다.


SHD


SPL

2.2 EMF 방식

EMF 방식의 경우 FP000XX.SHD, FP000XX.SPL 파일이름으로 생성되었다. 단, SHD 파일의 경우 파일이 생성되기는 하지만 0 KB로 데이터를 저장하지는 않는다.


EMF 방식

SPL 파일에는 인쇄물이 EMF 포맷으로 저장되는데, 내용 확인이 용이하며 많은 도구들이 이를 지원한다. 대표적으로 SPLView64 도구가 있으며 다음의 경로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 http://www.lvbprint.de/html/download.html

별도의 도구 없이도 SPL Header를 제거하고 파일의 확장자를 EMF 로 변환하면 윈도우 기본 그림판으로도 확인이 가능하다.


SPL HEADER


EMF 확장자로 변경 후 확인

3. 참고

http://forensic-proof.com/archives/2922

http://www.undocprint.org/formats/winspool/spl

Comments